와인9 와인 세계 입문 2년 반 _ 75 (와인 초보의 조언) 와인의 세계에 입문한 지 어느덧 2년 반 _ 75 (와인 초보의 조언) 와인을 알게 된 후로 약 2년 반 동안 와인에 대해서 얼마나 더 자세히 알게 되었으며, 그 와인으로 인한 삶의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첫 1년, 그 후 1년, 그리고 최근의 와인에 대한 생각에 대해서 정리하고 다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평범한 샐러리맨으로서 와인을 최소 일주일에 2회 이상은 마셨고, 와인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배우는 동안, 시음회를 포함하여 약 4개월 동안에는 100개 이상의 와인을 시음하며 공부를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올해에는 와이너리에 직접 방문하고 투어도 해보면서 많은 것들을 느끼고 배우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래도 아직 한참은 초보이지만, 제 자신만의 와인을 대하는 자세 혹은 마음가짐이 생겼다고 .. 2024. 9. 22. (036) 메모로 피치니 MEMORO PICCINI 와인 후기 6 (036) 메모로 피치니 이탈리아 MEMORO PICCINI ITALIA 와인 후기 6 1. 와인 정보 ① 와인 이름 : 피치니 메모로 PICCINI MEMORO ITALIA ② 포도 품종 : 프리미티보 40%, 몬테풀치아노 30%, 네로다볼라 20%, 메를로 10% ③ 제조사 : 피치니 PICCINI ④ 생산 국가 : 이탈리아 (ITALIA) ⑤ 생산 지역 : 토스카나 (TOSCANA) ⑥ 알코올함량 : 14% ⑦ 빈티지 : NV (미확인) 4가지 품종 각기 다른 빈티지 혼합 ⑧ 병입년월 : 21년 추정 ⑨ 음용온도 : 18 ℃ 추천 (PICCINI 홈페이지) ⑩ 용량 및 종류 : 750ml, 스틸 와인, 레드 와인 ⑪ 판매 가격 : 15,900 원 (GS25 와인 25, 비비노 $11.74), 마트 .. 2023. 2. 7. (035) 산지오베제 풀리아 파스쿠아 Sangiovese Pulia 와인 후기 (035) 산지오베제 풀리아 파스쿠아 Sangiovese Pulia PASQUA 와인 후기 5 ■ 와인정보 ① 와인 이름 : 산지오베제 풀리아 파스쿠아 (제품명 : 파스쿠아 산지오베제) ② 포도 품종 : 산지오베제 (Sangiovese) ③ 제조사 : 파스쿠아 PASQUA VIGNETI CANTINE S.P.A ④ 생산 국가 : 이탈리아 (ITALIA) ⑤ 생산 지역 : 풀리아 (PUGLIA), 장화모양의 이탈리아의 뒷굽 부분 지역 ⑥ 알코올 함량 : 12% ⑦ 빈티지 : 2019 ⑧ 병입 년월 : 미확인 ⑨ 음용 온도 : 13 ~ 16℃ (제조사 14 ~ 16℃) ⑩ 용량 및 종류 : 750ml, 스틸 와인, 레드 와인 ⑪ 판매 가격 : 14,900원 (홈플러스) ⑫ 구매 가격 : 8,010원 (홈플러.. 2023. 2. 5. (034) 벨 콜레 모스카토 다스티 BELCOLLE MOSCATO D'ASTI 와인 후기 (034) 벨 콜레 모스카토 다스티 BELCOLLE MOSCATO D'ASTI 와인 후기 4 ■와인정보 ① 와인 이름 : 벨 꼴레 모스카토 다스티 BELCOLLE MOSCATO D'ASTI ② 포도 품종 : 모스카토 MOSCATO (=뮈스까 MUSCAT) - 이탈리아 어로 읽으면 '모스까또' 입니다. ③ 제조사 : 보시오 비니 BOSIO VINI (BOSIO FAMILY ESTATES SRL) ④ 생산 국가 : 이탈리아 ITALIA ⑤ 생산 지역 : 피에몬테 PIEMONTE ⑥ 알코올 함량 : 6% ⑦ 빈티지 : 2022년 ⑧ 병입 년월 : 2022년 ⑨ 음용 온도 : 6 ~ 8℃ ⑩ 용량 및 종류 : 750ml, 약 스파클링 와인 ⑪ 판매 가격 : 13,900 원 (GS25 WINE25) ⑫ 구매 가격.. 2023. 2. 4. (033) 호주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2 _ Australia (033) 호주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2 _ Australia (국가 5) _오스트레일리아 오늘 2월 1일이 되었습니다. 벌써 2월이 되었고, 포스트도 30개가 넘어갔습니다. 포스트 작성도 재미가 있네요. 저는 보통 와인을 한 주에 최소 1병은 마시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 집에서 가족들과 맛있고 즐거운 저녁을 먹을 때에 와이프와 마시고, 남은 와인은 진공 스토퍼로 막은 후 2 ~ 3일 안에 혼자서 가벼운 안주와 함께 마시고는 합니다. 오늘은 1월의 마지막 와인이었던, 이탈리아 IGT 등급의 이탈리아 지도에서 보면 장화의 뒷 굽부분의 지역인 물리아지역의 산지오베제를 독일 학센과 함께 킬바사 소시지와 먹었습니다. 정말 기름진 맛을 너무 잘 잡아주고, 타닌이 강하지 않고, 산도가 조금 있지만 너무 밸런스.. 2023. 2. 1. (031) 뉴질랜드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_ New Zealand (국가 4) (031) 뉴질랜드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_ New Zealand (국가 4) 뉴질랜드 와인에 대해서 지인들과 이야기하면 대부분은 소비뇽 블랑과 피노 누아에 대해서 어느 와이너리가 맛있네 이런 이야기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저도 뉴질랜드 와인은 화이트를 위주로 마셔봤고, 피노 누아도 몇 번의 경험만 있습니다. 오늘도 홈플러스에 갔는데 전면에 배비치 블랙 라벨 소비뇽 블랑을 필두로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 와인들이 딱 진열장에 놓여있는데,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에 대한 인지도를 보여주는 듯했습니다. 생산지에 따라 와인마다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는 뉴질랜드에 대해 오늘 포스트에서 알아보겠습니다. 5. 뉴질랜드 (New Zealand) (1) 국가정보 ① 국가명 : New Zealand(영어), Aotearoa.. 2023. 1. 28. (030) 아르헨티나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_ Argentina (국가 3) (030) 아르헨티나 와인 특징 품종 생산 지역 _ Argentina (국가 3) 아르헨티나에도 많은 와인들이 생산됩니다. 와인초보들에게는 아르헨티나는 생소한 나라입니다. 하지만, 와인마니아 중에서는 아르헨티나의 말벡의 매력에 빠진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저도 아르헨티나 와인은 말벡 1번의 경험 말고는 다른 와인을 아직 마셔보지 못했습니다. 와인을 좋아하는 지인들이 추천해 준 와인들이 사실 생각보다 고가인 와인들을 추천해 주셔서 아직 많은 경험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가성비가 좋은 와인들도 있어서 나중에 천천히 경험하려고 합니다. 사실 아르헨티나는 말벡 말고도 까베르네 쇼비뇽, 시라 등 다른 레드 와인도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트는 축구를 잘하는 나라, 메시의 나라, 칠레의 옆나라인 아르헨티나에 대해서 .. 2023. 1. 27. 이전 1 2 다음